목록JavaScript (20)
각진 세상에 둥근 춤을 추자
자바스크립트 내장 객체에는 수학과 관련된 기능과 속성을 제공하는 수학 객체(Math Object)가 있다. 종류 설명 Math.abs(숫자) 숫자의 절댓값을 반환 Math.max(숫자1, 숫자2, 숫자3, 숫자4) 숫자 중 가장 큰 값을 반환 Math.min(숫자1, 숫자2, 숫자3, 숫자4) 숫자 중 가장 작은 값을 반환 Math.pow(숫자, 제곱값) 숫자의 거듭제곱을 반환 Math.random() 0~1 사이의 난수를 반환 Math.round(숫자)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를 반환 Math.ceil(숫자)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무조건 올림하여 정수를 반환 Math.floor(숫자)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무조건 내림하여 정수를 반환 Math.sqrt(숫자) 숫자의 제곱근값을 반환 Math..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자바스크립트의 객체에는 내장 객체, 브라우저 객체 모델(BOM, Browser Object Model), 문서 객체 모델(DOM, Document Object Model)등이 있다. 내장 객체(Built-in Object)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내장되어 있어 필요한 경우 생성해 사용할 수 있다. 내장 객체는 문자(String), 날짜(Date), 배열(Array), 수학(Math) 객체 등이 있다. 내장 객체를 생성하는 기본형은 다음과 같다. 참조 변수(인스턴스 이름) = new 생성함수() 간단한 예제를 통해 내장 객체 생성에 대해 알아본다. [예제] 날짜 정보 객체 날짜, 시간 관련 정보를 제공받고자 할 때는 날짜 객체(Date Object)를 생성한다...
반복문을 이용하면 원하는 횟수만큼 코드를 반복하여 실행할 수 있다. 반복문에는 while문, do while문, for문이 있다. while문 let 변수 = 초깃값; while(조건식){ 자바스크립트 코드; 증감식; } 간단한 예제를 통해 while문을 이해해 본다. [예제1] [예제2] 1부터 10까지 짝수합 [예제3] 2와 6의 최소공배수 do while문 do while문은 먼저 코드를 실행한 후 조건식을 검사한다. let 변수 = 초깃값; do { 자바스크립트 코드; 증감식; }while(조건식) [예제1] 1부터 10까지 홀수합 for문 for문은 조건식을 만족할 때까지 특정 코드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for(초깃값; 조건식; 증감식){ 자바스크립트 코드; } [예제1] [예제2] 별삼각형 중..
선택문인 switch문은 변수에 저장된 값과 switch문에 있는 경우(case)의 값을 검사하여 변수와 경우의 값에서 일치하는 값이 있을 때, 그에 해당하는 코드를 실행한다. let 변수 = 초깃값; switch(변수){ case 값1: 코드1; break; case 값2: 코드2; break; case 값3: 코드3; break; ... default: 코드5; } 변수에 저장된 값은 switch문을 만나면 case의 값과 비교, 검사한다. 만약 변수의 초깃값이 case 값1과 일치하면 코드1을 실행하고 break를 통해 switch문을 종료한다. 만약 일치하는 case 값이 없다면 마지막 default의 코드5를 실행하고 switch문을 종료한다. 간단한 예제를 통해 switch문을 이해해 본다.
제어문은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문장을 말한다. 제어문에는 조건 만족 여부에 따라 코드를 제어하는 조건문, 변수 일치에 따라 코드를 제어하는 선택문 그리고 특정 코드를 여러 번 반복해서 실행하는 반복문이 있다. 조건문에는 if문, else문, else if문이 있고, 선택문에는 switch문, 반복문에는 while문과 for문이 있다. if문 if문은 조건식을 만족(true)할 경우에만 코드를 실행한다. if(조건식){ 자바스크립트 코드; } (예제1) (예제2) if-else문 조건식을 만족할 경우와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 따라 실행되는 코드가 다르다. if(조건식){ 자바스크립트 코드1; }else { 자바스크립트 코드2; } (예제1) (참고) confirm() 메서드 confi..
적정 체중 구하기 테스트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적정 체중 = (신장 - 100) X 0.9 은지의 신장은 165cm이고 체중은 65kg이라고 했을 때 체중 상태를 알아 본다. 은지의 적정 체중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신장: 165(cm) 체중: 65(kg) 적정 체중: (165-100) X 0.9 = 58.5 (kg) 결과: 적정 체중은 58.5kg이며, 현재 적정 체중에서 6.5kg 초과한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근육량을 포함하지 않은 신장과 체중 수치만으로는 적정 체중을 가늠할 수 없다.) (1) step1_heiweight.html 은지의 신장에 맞는 적정 체중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2) 은지의 신장과 체중이 바뀌었다. 새로워진 신장과 체중을 입력받은 후 적정..
변수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가공을 위해 연산자(Operator)를 사용한다. 연산자에는 산술, 증감/감소, 복합 대입, 관계, 논리, 일치, 조건 연산자 등이 있다. 산술 연산자 문자 결합 연산자 문자 결합 연산자는 연산 대상 데이터가 문자형 데이터이다. 여러 개의 문자를 하나의 문자형 데이터로 결합할 때 사용한다. 대입 연산자 증감 연산자 증감 연산자에는 숫자형 데이터를 1씩 증가시키는 증가 연산자(++)와 1씩 감소시키는 감소 연산자(--)가 있다.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삼항 조건 연산자 삼항 조건 연산자는 조건식(true or false)의 결과에 따라 실행 결과가 달라지는 삼항 연산자이다.
변수(Variables)는 변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이다.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종류는 문자형(String), 숫자형(Number), 논리형(Boolean), 빈(Null) 데이터가 있다.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var 변수명; var 변수명 = 값; let 변수명; let 변수명 = 값; ES5에서는 var를 사용했지만 ES6부터는 프로그래밍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위해 let이나 const를 주로 사용한다. 간단한 예제를 통해 변수를 이해해 본다.
자바스크립트 선언문 선언문에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작성할 영역을 선언한다. 스크립트 영역은 태그까지이다. 선언문은